❑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는 악취문제 해결책을 강구하고자 ‘제주형 악취관리 시스템을 통한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상생방안 모색’ 심포지엄을 27일 제주대학교 아라컨벤션홀에서 공동으로 개최했다.
❍ 이번 심포지엄은 ▲제주지역 실정에 맞는 악취 저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도‧행정시 및 유관기관 전문가들의 역량과 지혜를 모으고 ▲정보 교류를 통해 앞으로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 가능한 청정제주의 환경보전과 생태환경 구축 및 악취 관리방안을 공동 모색하고자 마련됐다.
❑ 이날 심포지엄은 조은일 제주악취관리센터장의 개회사와 제주도의회 송창권 환경도시위원장, 농수축경제위원회 강성의 의원의 축사를 시작으로 주제발표와 종합토론,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.
❍ 주제발표로 ▲한국환경공단 악취기술지원부 정주영 차장의 ‘악취민원 다발지역의 관리방안’ ▲전북대학교 서일환 교수의 ‘악취문제 해결을 통한 지역사회‧주민 및 지역산업과의 상생방안’ ▲한국자치경제연구원 이철호 박사의 ‘지속가능한 제주악취관리센터 역할과 발전방향’이 이어졌다.
❍ 이어 진행된 토론에서는 도의회 양병우 의원이 좌장을 맡아 「제주형 악취관리 시스템을 통한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상생 방안 모색」에 대해 ▲도 강명균 자원순환과장 ▲도 강원명 친환경축산정책과장 ▲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 강경호 정책연구위원 ▲농민 김종인(전 언론인) ▲한림읍 동백팜(양돈) 고정훈 대표가 심도있는 토론을 펼쳤다.
❑ 강명균 제주도 자원순환과장은 “이번 심포지엄을 계기로 철저한 악취관리를 통한 악취발생 사전 예방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과 함께 축산악취뿐만아니라 생활악취까지 업무범위를 확대하도록 힘쓸 것”이라면서 “도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해 관련 기관과 유기적으로 협력하며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해 나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”고 말했다.
❑ 조은일 제주악취관리센터장은 “악취관리지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청정제주의 맑은 공기를 유지하고, 악취 없는 환경을 조성해 쾌적한 제주를 구현하는 중심 역할을 하겠다”고 강조했다.
|